logo 소식지소개 뇌졸중이란 자료실 지난호보기 Q & A 관련사이트 Home
HOME
Sitemap
뇌졸중 소식지
소식지 소개
뇌졸중이란
자료실
지난호 보기
Q&A
관련사이트
Volume
인사말
대한뇌졸중학회 소식
목동맥협착 (증상성/무증상성)
일반인의 고혈압 인식도
올바른 걷기
최신지견
신경과 소식




뇌졸중 소식지를 신청하세요!







뇌졸중의 위험 인자 가운데, 고혈압은 비중이 높은 중요한 인자이면서 손쉽게 진단할 수 있고 적절하게 치료를 할 수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단순한 고혈압 유무 보다는, 고혈압의 적절한 관리 여부가 뇌졸중 발생 위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의 치료 효과는, 의사의 약물 처방과 함께 고혈압에 대하여 환자가 갖고 있는 지식 그리고 고혈압과 관련된 생활 습관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고혈압 관리를 위하여, 현재 고혈압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의 고혈압 인식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뇌졸중 임상연구센터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고혈압 인식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또는 일과성 허혈 발작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고혈압으로 진단 받은 분들을 대상으로, 고혈압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이상적인 고혈압 치료 및 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습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 항목으로는 고혈압의 가족력, 본인의 혈압 상태, 고혈압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치료에 임하는 태도, 합병증 유무 등이 있었습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환자 개개인의 고혈압에 대한 지식은 교육 수준, 가족의 뇌졸중 과거력, 뇌졸중의 위험 인자들의 존재 유무와 크게 관련이 없었습니다.
상당수의 환자들이(43%) 혈압이 목표 수치에 도달하면 혈압약 복용을 중단해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잘못된 지식으로, 목표 수치에 도달한 혈압은 단지 현재의 혈압약 복용이 적절하다는 것을 나타낼 뿐입니다. 즉, 목표 수치에 도달하였다고 하더라도, 혈압약 복용을 중단할 경우 혈압은 다시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규칙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다가 정상치보다 낮은 혈압이 계속 측정되거나 어지러움 등의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약을 자의로 중단하지 말고 평소 다니던 병원에 방문하여 의료진과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뇌졸중이 발생한 고혈압 환자들은 규칙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38%가 발병 이전 최근 5년 이내에 혈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지 않았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보다 적절한 고혈압 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환자들이 고혈압에 대하여 알고 있는 정도와 실천에 옮기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체중 조절이 필요하다’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78.3%이었으나, 이를 실제로 실천에 옮긴 사람은 39.1%에 불과하였습니다. ‘저염식이’의 경우, 혈압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알고 있는 비율은 94.6%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천에 옮기는 비율은 27.2%에 불과하였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의 경우, 85.9%가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실제로 운동을 하는 사람은 45.7%임이 확인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고혈압 치료에 있어 합병증 발생을 줄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체중 조절, 저염식이, 규칙적인 운동 등의 생활 양식 수정이 필요하며, 이를 환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고혈압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이 혈압에 대하여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으며 규칙적으로 혈압을 측정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하여, 고혈압 환자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101
548,596
656,717